본문 바로가기
퇴사 그리고 자기관리

퇴사 후 나를 위한 공간 정리 루틴 5가지

by morina-ri 2025. 7. 3.
반응형

주변이 정돈되면, 나도 다시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

 

 

정리되지 않은 공간에서, 삶의 방향도 흐려진다

 

퇴사를 하면 처음엔 자유가 찾아온 줄 알지만,
며칠이 지나고 나면 그 자유는
생각보다 무겁고 피곤한 감정으로 다가옵니다.

늘 집에 머물게 되면서
‘머무는 공간’이 나의 일상이자 세상이 됩니다.

 

퇴사 후 환경 정리 공간 정리


그런데 주변이 정돈되지 않으면
마음속 감정도 흩어지고, 집중력도 사라지며,
하루하루는 점점 무기력한 흐름 속에 빠져듭니다.

책상 위엔 쓰다 만 노트와 펜,
바닥에는 벗어둔 옷가지,
침대는 매일 개지 않은 채 그대로…

처음엔 그저 귀찮아서 넘기지만


어느 순간부터 이 어지러움은
‘내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자책감’으로 번집니다.

그럴 때 필요한 건 거창한 계획이 아닙니다.
딱 한 평의 공간이라도 정리하면서
“나는 내 삶을 다시 정돈할 수 있어”라는 믿음을 되찾는 것


정리는 단순히 물건을 치우는 행위가 아니라,
무너진 삶의 감각을 하나씩 다시 세우는 행위
입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퇴사 후 공백기를 보내는 당신에게
마음을 다시 회복하고 방향을 정리할 수 있도록
공간 정리 루틴 5가지를 소개합니다.

 

 

공간과 감정은 연결되어 있습니다

- 주변이 어지럽다는 건 감정이 쌓여 있다는 뜻

 

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
모든 게 익숙해지기보다 피곤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
정리되지 않은 방을 보면
“언젠가는 해야지” 하면서도
막상 손이 가지 않고,
점점 스스로가 지저분해진 느낌에 지쳐가죠.

 

특히 퇴사 후 이 방은 단순한 생활공간이 아니라
내 감정과 미래가 머무는 공간이 됩니다.
그래서 이 방이 엉켜 있으면
나는 ‘멈춰 있다’는 느낌을 더 강하게 받습니다.

 

 

- 정리는 버림이 아닌 선택

정리는 단순히 버리는 것이 아닙니다.
무엇을 남길 것인가,
무엇이 지금의 나에게 필요하고 불필요한가
선택하는 과정입니다.

 

퇴사 전 바쁘게 살아오던 시절엔
주변에 뭘 쌓아두든 신경 쓸 겨를이 없었습니다.


하지만 지금은
‘내가 지금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은가’를 반영하는 공간
더 중요해졌습니다.

 

물건을 정리하면서
지금의 나에게 어울리는 것,
지금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을
하나씩 골라내보세요.


그 선택이 결국
‘앞으로의 나’를 다시 설계하는 출발점이 됩니다.

 

 

퇴사 후 공간 정리 루틴 5가지

- 시야 속 공간부터 정리하기

 

가장 먼저 손댈 곳은
‘전체 공간’이 아니라
내가 가장 자주 바라보는 시야입니다.

  • 침대 맞은편 벽면
  • 책상 위
  • 주방 싱크대 앞
  • 세면대 주변
  • 스마트폰 첫 화면

이 공간들을 정리하면
시선을 둘 때마다 받는 무의식적인 스트레스가 줄어들고
집 안 전체가 정리된 것 같은 안정감을 주게 됩니다.

 

단 10분이면 충분합니다.
‘보이는 공간 하나’만 깔끔하게 바꾸면
당신의 집중력과 감정은 확실히 달라질 거예요.

 

- 사용하지 않는 물건 5개 치우기

정리는 시작 자체가 어렵습니다.
그래서 오늘의 목표는 간단하게 해도 좋습니다.
딱 5개. 지금 당장 눈에 띄는 쓸모없는 물건 5개를 빼보세요.

 

예를 들어

  • 오래된 전선
  • 더 이상 입지 않는 옷
  • 껍질 벗겨진 볼펜
  • 손에 안 맞는 머그컵
  • 읽지 않은 잡지

정리는 공간을 넓히는 일이기도 하지만,
무엇보다도 내가 ‘선택할 수 있다’는 감각을 회복하는 일입니다.
지금의 나는
내가 쓰는 공간과 내 일상을
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메시지를
몸으로 되새기게 되는 거죠.

 

- 침대 주변을 안식처로 만들기

퇴사 후에는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.
그렇기 때문에 이 공간만큼은
의도적으로 정리해서 ‘심리적 안식처’로 만들어야 합니다.

  • 이불과 쿠션을 같은 계열 색으로 통일
  • 침대 옆 테이블 위엔 3개 이하 물건만
  • 시야에 들어오는 벽면엔 좋아하는 글귀나 사진 붙이기

침대가 깨끗하게 정돈되면
기분이 가라앉았을 때도
몸이 먼저 쉬고 싶어 하는 공간이 됩니다.
그리고 휴식이 편안해야 다시 움직일 수 있는 힘도 생깁니다.

 

- 디지털 공간 정리하기

의외로 가장 무질서한 공간은
바로 휴대폰, 노트북, 이메일 함입니다.

  • 스마트폰 앱 아이콘 정리
  • 사용하지 않는 앱 3개 삭제
  • 바탕화면 폴더 재정렬
  • 지저분한 이메일함 구독해지

이런 정리를 한 번 해두면
불필요한 정보로부터 나를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.


특히 스마트폰 화면이 깔끔해지면
스크롤 중독이나 뉴스 피로도도 줄일 수 있어요.

 

- 하루 10분 정리시간 만들기

정리는 ‘한 번에 몰아서 끝내는 것’보다
하루 10분씩이라도 지속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.

  • 아침: 침구 정돈
  • 점심: 책상 위 정리
  • 저녁: 디지털 공간 5분 점검

이 루틴이 일주일만 반복되면
‘정돈된 공간에서 하루를 살아가는 감각’이 생깁니다.
그리고 그 감각은
당신이 다시 삶을 주도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연결됩니다.

 

 

공간이 바뀌면, 나도 바뀝니다

퇴사 후 머무는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닙니다.
지금의 내가 살아가는 전부이자,
앞으로의 내가 움직일 출발점
입니다.

 

정리는 완벽하게 하는 게 목적이 아닙니다.
내가 나를 위해 선택한 공간을
하나씩 다시 만들어나가는 행위
입니다.

 

무기력하고 혼란스러운 날,
방 안의 한 구석이라도 바꿔보세요.


그 작은 변화가
마음의 방향을 살짝 틀고,
삶 전체를 다시 조금씩 움직이게 만들어줄 거예요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