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퇴사 그리고 자기관리

퇴사 후 무너진 일상 루틴을 되찾는 6가지 작은 습관

by morina-ri 2025. 7. 3.
반응형

흐트러진 하루를 회복하는 법

 

나도 모르게 하루가 엉켜만 가고 있을 때

퇴사 후에는 잠깐의 여유가 참 소중하게 느껴집니다.
오랜만에 알람 없이 늦잠도 자보고,
커피 한 잔에 여유를 느끼며,
하루를 나만의 속도로 보내는 기분이 꽤 괜찮아 보이죠.

 

무너진 일상 루틴을 되찾는 방법

 

하지만 그 ‘괜찮음’은 생각보다 오래가지 않습니다.
며칠, 혹은 몇 주가 지나면 그 자유가 조금씩 흐트러지고,
‘무너진 하루’라는 감각이 스며들기 시작합니다.

 

기상 시간은 제멋대로, 밥 먹는 시간도 들쑥날쑥,
밤엔 졸리지도 않고 낮엔 아무것도 하기 싫고…

 

어느 순간
"오늘 하루 뭐 했더라?"
라는 말이 입 밖으로 새어 나올 때,
당신은 이미 루틴이 무너진 일상 속에서
자신을 놓치고 있다는 신호를 느끼고 있는 거예요.

 

그리고 그때 찾아오는 건
의외로 불안이 아니라 자책입니다.

“나는 왜 이렇게 의지가 없지?”
“다른 사람들은 뭐라도 배우던데…”
“나만 이렇게 흘러가는 것 같아…”

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아요.


당신이 무기력한 게 아니라,
단지 지금은 ‘삶의 틀’이 한순간 사라졌을 뿐이에요.

 

그리고 이럴 때 가장 필요한 건
거창한 계획이 아니라
아주 작은 루틴 하나를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

 

 

왜 퇴사 후엔 일상이 이렇게 흐트러질까?

- 우리는 정해진 시간표 안에서 살아왔다

회사에 다닐 때는
하루의 대부분이 정해진 시간표로 구성돼 있었습니다.
출근 시간에 맞춰 일어나고,

점심시간에 밥을 먹고,
퇴근 후엔 피곤해서라도 쉬어야 했고요.

 

하지만 퇴사와 동시에
그 시간표는 완전히 사라집니다.
그리고 갑자기 너무 많은 자유가 주어졌을 때,
우리는 그걸 잘 쓰는 법을 몰라서 혼란스러워지는 거예요.

 

하루가 길고, 시간은 많은데
도대체 뭘 해야 할지 모르겠고,

무엇을 하든 의미가 없어 보이는 상태.

사실 이런 흐트러짐은
게으름이 아니라,
내가 나를 관리하는 기준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.


- 루틴이 무너지면 감정과 자존감도 무너진다

우리의 감정은
‘반복되는 안정된 흐름’ 안에서 차분하게 유지됩니다.
단순한 동작이라도
반복되면 안전감이 생기고
그 속에서 ‘나는 괜찮다’는 감각도 생깁니다.

하지만 그런 흐름이 무너지면
감정도 요동치고,
하루를 스스로 이끌 수 없다는 자책이 쌓이게 되죠.

 

결국 의욕이 없어서 루틴이 무너진 게 아니라,
루틴이 없기 때문에 의욕이 생기지 않는 것
입니다.

 

그래서 퇴사 후의 공백기엔
거대한 목표보다
작고 현실적인 루틴 하나를 매일 쌓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이에요.

 

 

흐트러진 하루를 회복하는 6가지 루틴

- 아침 햇살을 보는 10분 산책

아무것도 하지 않는 하루라도
하루의 리듬을 회복하는 첫 단추는 아침 햇살입니다.

햇빛은 우리 몸의 생체시계를 조율하고,
멜라토닌과 세로토닌의 균형을 맞추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.

  • 집 앞을 슬리퍼 신고 걷는 것도 좋고
  • 고개만 들어 하늘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해요
  • 꼭 운동을 하지 않아도 괜찮아요

중요한 건
“나는 오늘 하루를 시작했다”는 감각을 몸이 먼저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.

 

 

- 같은 시간에 간단하게 아침 챙기기

식사는 신체뿐 아니라
‘정신의 리듬’을 정비해 주는 행위입니다.
특히 아침은
“나를 위해 뭔가를 준비했다”는 기분을 주기에 정말 중요하죠.

  • 삶은 달걀 + 바나나
  • 미숫가루나 단백질 쉐이크
  • 작은 토스트 한 장이라도

중요한 건 요리의 완성도가 아니라
“같은 시간에 뭔가를 챙겨 먹는다”는 습관입니다.
이것만으로도
자기 돌봄의 시작이 됩니다.

 

 

- 정해진 시간에 책상 앞에 잠깐 앉기

퇴사 후에는 ‘앉아서 뭘 한다’는 행위조차 줄어듭니다.
몸이 늘어져 있고,
소파나 침대에 기대서
하루를 보내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.

 

하지만 하루에 단 20분만이라도
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을 만들어보세요.

  • 책을 펴서 밑줄을 그어도 좋고
  • 노트에 생각을 적거나
  • 온라인 강의를 10분 듣는 것도 좋아요

이건 결과를 내기 위한 행동이 아니라,
의도된 자세를 통해 내 사고와 집중을 정돈하는 루틴입니다.
“나는 지금 나를 위해 앉아 있는 중”이라는 자각이
다시 자신을 다잡게 해 줘요.

 

 

- 디지털 거리두기, 알람과 타이머를 활용하세요

하루 종일 스마트폰에 기대는 습관은
시간을 빼앗는 것뿐 아니라
자존감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 

뉴스, SNS, 유튜브, 쇼핑 앱…
모두 비교와 피로를 만드는 정보들로 가득하죠.

그래서 다음과 같은 루틴을 만들어 보세요:

  • 오전 9~11시, 스마트폰 끄기
  • ‘포모도로 타이머’ 앱으로 25분 집중 / 5분 휴식
  • 자기 전에는 스마트폰을 다른 방에 두기

작은 거리 두기를 반복하면
현실 속 ‘나의 시간’이 점점 회복되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.

 

- 하루 1회, 아주 작은 정리 습관 만들기

공간은 감정의 반영입니다.
정리가 되지 않은 방은
내 마음도 엉켜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.

 

그래서 큰 청소보다
딱 한 곳만 정리하는 습관을 만들어보세요.

  • 세면대 수건 한 장 정리하기
  • 책상 위 서류 3장만 정리하기
  • 카톡 대화창 5개만 정리하기

이런 작은 성공이 반복되면
“내가 뭔가를 해냈다”는 감정이 생깁니다.


그리고 그것만으로도
하루의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어요

 

- 자기 전, 나에게 질문 하나 건네기

하루의 끝에서
내가 나에게 질문을 던지는 시간은
감정과 삶을 정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예를 들어 이런 질문은 어때요?

  • 오늘 나를 웃게 한 순간은?
  • 오늘 가장 잘한 선택은?
  • 내일 무엇을 기대해보고 싶은가?

정답을 찾지 않아도 됩니다.
질문 자체가 나를 삶에 다시 연결시키는 루틴이 돼요.

 

 

하루 하나의 루틴만 실천해도 괜찮습니다

퇴사 후 흐트러진 일상은
단순히 ‘시간이 많아서’ 무너진 게 아닙니다.
삶의 리듬을 만들어주던 구조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.

 

그리고 그 구조는 
다시 내가 조금씩 세워나갈 수 있습니다.

 

하루 한 가지 루틴만 실천해 보세요.

  • 아침 햇살 10분
  • 책상 앞에 20분
  • 스마트폰 1시간 멀리 두기
  • 자기 전 나에게 질문하기

이 작은 습관들이 모이면
언젠가 다시 “나는 괜찮아지고 있어”라는 확신을 느끼게 될 거예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