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퇴사 그리고 자기관리

퇴사 후에도 매일 꾸준히 쓰는 삶

by morina-ri 2025. 7. 5.
반응형

나를 지키는 글쓰기 루틴 5가지

공백기 동안, 말보다 글이 나를 더 잘 지켜줄 때가 있다

퇴사를 하고 나면 말이 줄어든다.
함께 일하던 동료도,
주고받던 메신저도,
루틴 속의 인사말도,
어느 순간 조용해진다.

그리고 생각한다.

“이렇게 혼자 있어도 괜찮을까?”
“내가 지금 느끼는 감정이 뭔지도 잘 모르겠어.”
“하루하루 그냥 흘러가는 느낌이야…”

 

글쓰기 루틴

 

이럴 때 말보다 글이 나를 지켜준다.

누군가에게 말하지 않아도 괜찮다.
혼잣말처럼 써보는 한 줄의 문장이
그날의 나를 붙잡아주고,
흩어지는 감정을 정리해준다.

 

글을 쓴다는 건 단지 기록하는 행위가 아니다.
그건 나를 관찰하고, 이해하고, 지켜보는
아주 사적인 회복 루틴이다.

 

 

왜 퇴사 후엔 ‘글쓰기 루틴’이 필요한가?

- 말이 줄어든 시기, 감정을 지켜주는 도구가 필요하다

퇴사 후에는 대화가 줄어든다.
타인과의 연결이 약해지고
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감정들이 떠오른다.

 

“지금 나 좀 외로운 것 같아.”
“괜찮은 척했는데 사실 안 괜찮았어.”
“조금은 허무하고 불안해…”

 

이 감정들을 말로 정리하기엔
너무 복잡하고 미묘하다.
그래서 글이 필요하다.

 

글은 말보다 천천히, 더 깊이,
내 마음을 안전하게 표현하게 해준다.


- 나를 설명하는 언어를 갖는다는 것

퇴사 후에는 대화가 줄어든다.
타인과의 연결이 약해지고
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감정들이 떠오른다.

 

“지금 나 좀 외로운 것 같아.”
“괜찮은 척했는데 사실 안 괜찮았어.”
“조금은 허무하고 불안해…”

 

이 감정들을 말로 정리하기엔
너무 복잡하고 미묘하다.
그래서 글이 필요하다.

 

글은 말보다 천천히, 더 깊이,
내 마음을 안전하게 표현하게 해준다.

 

퇴사 후 나를 지키는 글쓰기 루틴 5가지

1. 하루 10분, 감정 기록 루틴 만들기  

글쓰기라고 해서
블로그에 멋진 글을 쓰라는 게 아니다.
가장 기본이 되는 건 ‘감정 기록’이다.

 

실천 방법

  • 하루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감정 1가지 적기
  • “오늘 나는 왜 이렇게 느꼈을까?”라고 자문
  • 좋았던 일 1개 + 불편했던 일 1개 기록
  • “내일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”로 마무리

예를 들면

“오늘은 괜찮았다고 생각했는데,
저녁에 문득 불안한 감정이 밀려왔다.
아무 일도 없었는데도.
어쩌면 뭔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이었을지도.
내일은 조금 덜 완벽해도 괜찮다고 말해주고 싶다.”

 

이런 글은
공개하지 않아도 괜찮다.
나에게 보내는 짧은 편지일 뿐이다.

 

2. 매일 3줄 블로그 포스팅 습관  

퇴사 후 블로그를 시작한 사람들은 종종 이렇게 말한다.

 

“무슨 내용을 써야 할지 몰라서 포기했어요.”

 

하지만 블로그는
정보 콘텐츠가 아니어도 된다.
그날의 짧은 감정, 통찰, 기록을 3줄만 남기는 루틴도 훌륭한 시작이다.

 

예를 들면

  • 오늘 읽은 문장에서 느낀 점
  • 하루 중 가장 기분 좋았던 순간
  • 커피를 마시며 떠오른 생각 한 줄

이렇게 써도
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흐름이 생긴다.


그리고 누군가는
그 짧은 3줄에 깊이 공감할 수도 있다.

 

작은 공감이 모이면
‘나의 언어’를 가지는 사람이 된다.

 

3. 일주일에 한 번, 주간 회고 쓰기  

퇴사 후에는
시간의 흐름을 놓치기 쉽다.
월요일, 수요일, 금요일이 무의미해지고
그냥 시간만 지나간다.

 

그래서 제안하는 루틴

 

“일주일에 한 번, 나의 흐름을 되짚는 글을 써보자.”

 

형식은 자유롭다.


예를들면

  • 이번 주 나는 어떤 패턴으로 지냈는가
  • 감정 곡선은 어땠는가
  • 기억에 남는 대화나 생각은?
  • 다음 주에 실험해보고 싶은 건?

이건 일과 무관한 ‘삶의 감각’을 복원하는 루틴이다.


그리고 이 기록은
곧 당신의 회복 아카이브가 된다.

 

 

4. 다른 사람의 글에 반응 남기기  

글을 쓰는 행위는
혼자 하는 것처럼 보여도
사실은 세상과 연결되는 방법 중 하나다.

 

그래서 제안한다

“다른 사람의 글에 한 줄 반응을 남기기.”

 

예를들면

  • 브런치 글에 공감 댓글 남기기
  • 티스토리 블로그에 짧은 의견 달기
  • 좋아하는 책 구절 공유하고 나만의 해석 적기

이런 식의 짧은 반응형 글쓰기
내가 느끼는 감정을
더 명확한 언어로 바꿔주는 훈련이 된다.

 

그리고 그 연결은
내 글에도 다시 생기를 불어넣는다.


5. 한 달에 한 번, 나만의 글목차 써보기

정기적인 루틴이 생겼다면
이제는 조금 더 긴 글의 구조도
실험해볼 수 있다.

 

예를들면 

『퇴사 후 나를 회복한 글쓰기 루틴』
  서문: 아무 말도 할 수 없던 시절
  1장: 감정이 무너질 때, 나는 썼다
  2장: 글이 내 루틴이 되기까지
  3장: 글이 다시 나를 세우다

 

이렇게 목차만 구성해도
나는 내 삶의 패턴을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진다.

 

글은 곧 삶의 지도가 된다.
그리고 그 지도는
조금씩 완성되어 간다.

 

 

쓰는 사람은 흔들려도 무너지지 않는다

퇴사 후 글을 쓴다는 건
책을 쓰기 위한 것도 아니고
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도 아니다.

 

그건
“지금 이 삶을 있는 그대로 통과해가는
나 자신에게 남기는 기록”이다.

  • 하루 10분 감정 기록
  • 3줄 블로그
  • 주간 회고
  • 반응형 글쓰기
  • 목차 구성 실험

이 모든 루틴은
결국 나를 말할 수 있는 사람,
흔들려도 무너지지 않는 사람
으로 만든다.

 

그리고 글을 쓰는 동안
당신은 잊지 않게 된다.

 

“나는 여전히 나로 살아가고 있다.”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