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, 뭐가 어떻게 다를까?
경매든 일반 매매든, 부동산을 내 명의로 갖게 되면 매년 빠짐없이 만나는 세금이 있다. 바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다. 둘 다 “보유”에 매기는 세금이지만 성격·부과 기준·세율이 확연히 다르다.
처음엔 헷갈리지만, 차이만 잡아두면 세금 계획이 훨씬 간단해진다.

이어서 보면 좋은 글: 취득세 완벽 가이드, 취득세 감면 조건 총정리, 경매 취득세 주의점
1) 재산세 – 모든 소유자가 내는 기본 보유세
재산세는 지방세다.
거주하는 지자체(시·군·구)가 부과하며, 주택·토지·건물 등 대부분의 부동산 소유자가 납부한다.
주택 재산세는 보통 매년 7월과 9월에 2회 분납 고지된다.
재산세 = 과세표준 × 세율
과세표준 = 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 (주택 기준 통상 60%)
세율(주택) = 0.1% ~ 0.4% (과세표준 구간별 차등)
• 계산 예시(주택)
항목 | 계산식 | 금액 |
---|---|---|
공시가격 | 입력값 | 300,000,000 |
과세표준 | 3억 × 60% | 180,000,000 |
재산세 | 1억8천만 × 0.1% | 180,000원 |
※ 공정시장가액비율·세율 구조는 해마다 변동될 수 있으니 지자체 고지서 기준을 확인.
2) 종합부동산세 – 일정 기준을 넘는 고가·다주택자 대상
종부세는 국세다.
국가가 부과하고 국세청이 징수한다.
모든 소유자가 대상은 아니고, 일정 공시가격 기준을 넘는 경우에만 부과된다.
구분 | 과세 기준(공시가격 합계) | 비고 |
---|---|---|
1주택자 | 12억 초과 | 공시가격 합계 기준 |
2주택 이상(조정대상지역) | 6억 초과 | 합산 과세, 중과 가능 |
2주택 이상(비조정지역) | 12억 초과 | 합산 과세 |
세율은 보유 주택 수·공시가격 구간에 따라 약 0.6% ~ 6%까지 차등 적용된다.
간단히 말해 종부세는 고가 주택·다주택자에게 매겨지는 추가 보유세에 가깝다.
※ 한시적 완화나 공제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해당 연도 국세청 공고 확인 권장.
3) 재산세 vs 종부세 한눈 비교
구분 | 재산세 | 종합부동산세 |
---|---|---|
부과 주체 | 지방자치단체(시·군·구) | 국가(국세청) |
부과 대상 | 모든 부동산 소유자 | 고가 주택·다주택자 |
부과 시기 | 매년 7·9월(2회 분납) | 매년 12월 |
과세 기준 | 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 | 전국 주택 공시가격 합산 |
세율 범위 | 약 0.1% ~ 0.4%(주택) | 약 0.6% ~ 6% |
절세 포인트 | 공시가격 이의신청, 분할 소유 등 | 주택 수 조정, 합산가액 관리, 법인전환 등 |
4) 절세 전략 – 경매 투자자는 특히 주의
경매로 주택을 여러 채 확보하면 의도치 않게 종부세 대상이 될 수 있다.
특히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은 재산세·종부세 모두에서 불리할 수 있으니
매수 전 시뮬레이션이 필수다.
① 취득 전 세금 시뮬레이션 – 낙찰 전, 합산 공시가격을 미리 계산
② 주택 수 관리 – 매각·증여·분할 등으로 다주택 규제 회피 전략 수립
③ 공시가격 이의신청 – 시세 대비 과다 산정 시 기한 내 이의신청
5) 두 세금은 연결되어 있다
“종부세 대상이 아니니 재산세만 보면 된다”는 생각은 반쯤만 맞다.
재산세 과세표준의 바탕이 되는 공시가격은 종부세에서도 핵심 지표로 쓰인다.
결국 공시가격 관리가 두 세금 모두에서 중요한 전략 포인트다.
6) 실전 예시 – 경매로 추가 취득한 뒤 세금 변화
가정: 서울(조정지역) 공시가격 8억 아파트 1채 보유 중, 인천 5억 아파트를 경매로 추가 취득.
항목 | 내용 |
---|---|
재산세 | 각 지자체에서 개별 부과(합산 부담 약 120~150만 원 수준 가정) |
종부세 | 조정대상지역 2주택 상태, 합산 공시가격 13억 → 종부세 과세 대상 |
총평 | 매년 수백만 원 추가 보유세 부담 가능 → 취득 전 시뮬레이션 필수 |
※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다. 실제 세액은 공정시장가액비율·세율·공제·지역·주택 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.
재산세는 ‘기본 보유세’, 종부세는 ‘추가 보유세’로 이해하면 쉽다.
물건을 한 채 더 늘릴수록 두 세금의 영향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.
취득 전 시뮬레이션과 주택 수 관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.
아는 만큼 덜 내고, 계획하는 만큼 지킬 수 있다.
※ 본 글은 학습용 요약이다. 실제 신고·납부 전에는 해당 연도 고지·법령·지자체/국세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자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6년까지 기본세율 적용! 양도세 중과 유예 핵심 가이드 (0) | 2025.08.17 |
---|---|
양도소득세 쉽게 계산하는 법과 절세 전략|2025 최신판 (1) | 2025.08.16 |
경매 취득세 계산 완벽 가이드 | 실전 예시 & 자동 계산표 (1) | 2025.08.16 |
부동산 취득세 완벽 정리 - 1 주택자~ 다주택자까지 취득세율, 감면 혜택, 절세 전략 (0) | 2025.08.15 |
취득세 감면 조건 총정리 (1) | 2025.08.14 |